산, 비움, 다짐 그리고 다시 시작

산, 비움, 다짐 그리고 다시 시작 2024년 1월 23일, 나는 "산, 비움, 다짐"이라는 제목으로 새해를 맞이하는 글을 썼다. 관악산을 올랐던 날이었다. 왜 비움을 다짐했을까. 어깨가 무겁게 시작된 해였나 보다. 마음 한구석이 답답하고, 내려놓아야 할 것이 많다고 느꼈던 걸까. 지금 돌아보면, 그때의 나는 무엇을 내려놓아야 하는지도 모른 채 무작정 비움을 다짐했던 것 같다. 그로부터 1년이 흘러, 2025년의 시작을 돌아본다. 1월 25일, 나는 북한산을 올랐다. 다행이다, 아직도 산을 타고 있으니. 사실 1년 만에 오른 산이었다. 정말 오랜만이었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몸이 생각보다 무겁지 않았다. 오히려 가볍다는 느낌이 들어서 기뻤다. 무엇보다도, 북한산이라는 산 자체가 내게 주는 의미가 남달랐다. 내가 처음 본격적으로 등산을 시작했던 곳, 그 시작점으로 다시 돌아온 것이 나름 반가웠다. 이번 산행에서 가장 놀라웠던 순간은 정상에 도착한 순간이었다. "어? 벌써 다 올라왔네?" 이런 느낌은 처음이었다. 과거의 나는 산을 오를 때마다 ‘어떻게 올라가지?’라는 생각을 먼저 했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그렇게 높게 느껴지지 않았다. 내 몸이, 내 감각이 변했다는 걸 깨달았다. 익숙해지고, 무던해지고, 편안해진 것이다. 그러나 익숙함은 때때로 정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무던해지고 편안해지면, 다시 그것을 깨는 작업이 필요하다. 산을 오르면서 그 생각이 가장 많이 들었다. 아, 지금 내가 새로운 경사에서 힘겨움을 느껴야 할 때구나. 지금 내 위치에 안주해서는 안 되는데, 익숙함에 젖어 있었구나. 2025년은 나에게 익숙하고 편안한 것에서 빠져나와야 하는 해가 될 것 같다. 대학원 생활도 벌써 3년이 지났다. 이제는 패턴을 찾고, 일상의 리듬을 만들어냈지만, 그게 좋은 느낌은 아니다. 긴장감이 필요하고, 부족함을 느껴야 하고, 더 배우고 싶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을 글로 써 내려가야 하는 압박감이 다시 필요하다. 적당한 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