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공부, 수능을 다시 생각하다

일단, 시작하기에 앞서 이토록 구체적이고 생생한 글로 현재 대한민국 입시판을 알기 쉽게 전달한 저자에게 경의를 표한다. ‘지금 이 입시 체제는 어딘가 잘못 되어 있는 것 아닐까?’ 하는 해묵은 문제 제기에 비해 실제 입시판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는 아무도 관심 없었다는 표현이 옳을 만큼 현상 파악에는 무지했던 입시 담론에, ‘바보야, 문제는 공교육이야’ 일갈하며 문제를 직시하는 이 책을 읽는 내내 속이 얼마나 시원했던지. 이제까지 겉으로 보이는 증세만으로 약을 처방하려고 했으니 모든 처방이 무효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던 것. 아픈 곳을 고치기 위해 ‘어디가’, ‘어떻게’, ‘왜’ 아픈지 하나씩 짚어가는 이 책은 해답지보다는 오답노트에 가까우나 해답을 진정한 내 것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오답노트가 필수인 것처럼 무엇이 문제인지를 정확히 짚어내는 이 책이야 말로 해답으로 가는 가장 빠른 지름길 같다는 생각이 든다. ‘바보야, 문제는 공교육이야’ 라고 요약했지만 사실 그렇게 쉽게 공교육을 ‘뜯어 고치자’는 식의 접근은 이 책에서 가장 조심하는 바이다. 오히려 모든 문제는 풍선효과처럼 한 곳을 누르면 다른 곳이 부풀어 오르므로 ‘당장 이를 해결하려 하지 말고 문제의 모든 측면을 꼼꼼히 따져보자’가 책의 주장에 가깝다. 따라서 문제가 분명한 상황을 두고도 이것이 최악을 피한 차악일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 입시란 수험생이라는 당사자의 입장을 벗어나면 일단 남의 일이 되어 쉽게 말을 얹을 수 있는 데다가 수험생들은 당장 눈 앞의 입시가 급해서 문제제기조차 할 수 없고 수험생으로 쉽게 일축하나 그 수험생들이 처한 상황 또한 천차만별이기 때문이다. 주입식 교육과 사지선다형 시험 방식이 문제이니 앞으로는 입시를 전부 논술형 또는 생활기록부 평가로 갈음하겠다고 하면 또 다른 문제가 일어날 것이 뻔하듯(목적에 방식이 부합하는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확실한 답은 없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런 결론(?)에도 불구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