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어항 속을 들여다보며

*다이소에서 이것저것 사 본 어항 악세서리 처음 물고기를 키우게 된 것은 자발적인 선택은 아니었다. 아이가 물고기를 키우고 싶다고 말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친정 엄마 집에서 구피 몇 마리를 데려오게 되었다. 구피는 생각보다 잘 먹고 잘 움직였다. 매일 먹이를 주면 어김없이 위로 떠올라 밥을 받아먹는 모습이 기특했다. 그러던 어느 날, 어항 청소를 하던 중 큰 사고가 벌어졌다. 물 온도나 환경 변화 때문이었는지, 데려온 구피들이 떼죽음을 당하고 말았다. 몇 마리만 가까스로 살아남았고, 이 비극은 온전히 내 부주의에서 비롯된 일이었다. 작지만 분명한 생명이 눈앞에서 죽어간다는 사실이 생각보다 큰 충격으로 다가왔다. 이후 문득, 물고기들은 어떻게 잠을 자는지 궁금해졌다. 물고기는 눈꺼풀이 없기 때문에 감는 모습을 볼 수 없다. 아주 늦은 밤, 불을 끄고 어항을 바라보았다. 그들은 조용히, 마치 물의 흐름에 몸을 맡기듯 정지해 있었다. 물속에서 그렇게 자고 있는 것이다. 그 모습이 낯설고도 신기했다. 반면 아침이 되면, 사람이 어항 근처로 다가가기만 해도 잽싸게 몰려와 먹이를 달라고 아우성치는 모습을 보면, 참 생명력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어느 날, 어항 속 구피 한 마리의 배가 유난히 불러 있는 것을 발견했다. 처음 데려올 때부터 조금 불러 있었는데, 그제야 새끼를 밴 상태였음을 알게 되었다. 구피는 일반적인 물고기처럼 알을 낳는 것이 아니라, 몸속에서 알이 부화된 후 살아 있는 새끼를 낳는 ‘난태생’ 방식을 따른다. 실제로 며칠 후, 그 어미는 작은 새끼 구피들을 여럿 낳았고, 순식간에 어항은 작고 투명한 생명들로 가득 찼다. 구피의 번식력은 익히 들어 알고 있었지만, 눈앞에서 그 과정을 목격하니 감탄스러웠다. 그러나 그 이후 상황은 순탄하지 않았다. 출산을 마친 어미 구피가 다른 젊은 개체들에게 집요하게 쫓기고 괴롭힘을 당하기 시작했다. 일부 사람들은 출산 직후 어미에게 남아 있는 냄새나 움직임 등이 다른 구피들을 자극하여 공격적인 반응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