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다음 소희>: 수많은 지금 그리고 다음 소희들

 며칠 모르는 번호로 전화가 오길래 무심코 받았다. 기계음으로 고객님 신한카드~’ 음성이 나오길래 흔한 스팸전화라고 생각하고 바로 끊으려던 , 기계음 안내원이 나에게 신한카드 대금이 연체중이어서 연락 드린다며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음성으로 말해달라고 하는 것이었다. 그제서야 깜빡하고 신한카드 이번 대금을 계좌에 이체해놓지 않았다는 사실이 생각났다. 콜센터에서 사람이 직접 전화할 필요 없이 이젠 AI봇이 고객과 음성으로도 소통할 있는 시대다. 그러고 보니 은행, 카드 어플 등에서도 기본적인 질문은 챗봇으로 전부 해결할 있다. 대표적인 감정노동자 직업인 고객상담원들의 고충이 AI 기술 덕분에 한시름 덜게 것인지, 혹은 하나의 진입장벽 낮은 저숙련 일자리의 종말이 다가오는 것일까.



 올해 화제가 독립영화 <다음 소희> 넷플릭스로 보았다. 백상예술대상에서 3 부문을 수상하는 국내외에서 호평을 받는 등 상당히성공한 독립영화라 하겠다. 학교와 기업의 협력프로그램 일환으로 대기업 L 통신사의 콜센터에서 실습생으로 일하던 전주의 실업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이 고객들의 갑질과 기업의 비인간적인 대우에 고통받다가 세상을 등진 실화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소희는 춤을 좋아하고 춰서 연습도 열심히 다니고 술자리에서 쓸데없이 시비거는 찌질한 남자들에게 통쾌하게 말은 하고 사는 당당한 성격의 고등학교 3학년이다. 당찬 19 소녀는 실습생이라는 이유로 좋은 실적에 대해 제대로 인센티브도 받지 못하지만 오히려 너무 해지방어를 하니까 소희 때문에 상사들의 기대 실적이 높아져서 힘들다며 소희를 욕하는 동료들, 각종 욕설, 성희롱으로 괴롭히는 고객들, 진상들로부터 직원을 보호하기는커녕 고객보다도 닦달하고 몰아붙이는 관리직과 회사, 그리고 힘들게 대기업에 학생을 보냈는데 니가 여기서 그만두면 우리 학교는 뭐가 되냐며 소희의 고통을 그저 집단을 위해 당연히 견뎌야 몫으로 치부하는 학교 등에 의해 벼랑 끝으로 내몰린다. 배두나가 소희와 같은 댄스연습실에 다녀서 소희와 안면이 있던 형사로 출연한다. 사실 영화를 보지 않아도 내용은 누구나 짐작할 있을 것이다. 이미 유명 배우인 배두나가 형사로 나오는 외에는 너무 과한 감정몰입 없이 전반적으로 잔잔하게 흘러가는 독립영화인데, 잔잔함이 오히려 현실성을 배가시킨다.




 콜센터나 온라인 고객센터 등에서 고객들을 직접 대하는 감정노동자들의 처우와 진상 고객들에 대한 이슈는 사실 이미 한국 사회에서 충분히 이야기되어 왔다. 그렇기에 영화에 결말이 따로 필요할까? 그냥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시간 자체가 <다음 소희> 결말이다. 영화의 제목처럼, 소희의 다음이 소희들은 끊임없이 있다. 나는 다음 소희들에게 어떤 고객일지, 아니 내가 다음 소희가 되지 않을 거란 보장은 어디 있을지, 요즘처럼 AI 감정노동을 대신해 준다면 그만큼 줄어든 일자리는 어디에 가서 찾아야 하는지 수없이 많은 고민과 의문을 남기며.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나 남이 연애하는 거 좋아하네

소녀의 로망

곁다리 라이프의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