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사 박물관 가기로 마음 먹기

 미국 뉴욕에 위치한 자연사 박물관에 가보는 것을 목표로 세웠다. 나의 목표이자 가족의 목표이다. 공룡을 사랑하는 아이를 위해, 가족이 온 마음으로 몰입해서 계획할 수 있는 목표가 생겨서 흥분된다. 언제, 어떻게 갈건지가 문제인데 비용은 얼마나 들지, 어느 날에 갈 수 있을지 여러가지 현실적인 부분들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가기로 마음 먹으니, 그 곳이 어떤 곳인지 자료조사를 하고 있다. 아래 사진 한 장이 주는 놀라움을 실물로 보고 싶은 욕구가 솟아오른다. (아마도 브라키오와 랩터들이겠지? 아니라면 직접 가서 확인을 하기로.) 거기에 아이들 눈높이 맞춘 온라인 학습 자료들이 풍부하니 가기 전 많이 들여다보고 가야겠다. 그리고 가장 큰 숙제는 엄마 아빠의 영어 실력일 듯하다. ^^;



(사진출처: https://www.amnh.org/calendar/member-hours)



(사진출처: https://www.amnh.org/explore/ology)



아이가 공룡을 좋아하듯, 요새 나도 흥미를 갖는 분야가 있는데 고인류학이다. 그 시작은 무덤부터 시작인데. 한반도의 무덤 유적들을 하나하나 조사할 일이 있었다.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 고려, 조선은 물론이고 그보다 더 위로 위로 올라가는 작업들은 너무나 나에게 호기심을 자극하는 일이었다. 특히 고구려 무덤이 나는 제일 재미있었는데, 아무래도 그림이 남겨진 벽화무덤이 많은 고구려의 특징과 함께, 고구려의 무덤을 직접 보기가 어렵다는 점에 더 매력이 있는 듯하다. 이 호기심은 부여, 고조선으로 계속 올라가다가, 마침내(?) 고인류로까지 올라갔고, 그 과정에서 이상희 선생님을 알게 되었다. 아래 영상들을 내가 재미있게 본 영상들 묶음이다.







인간의 지적 호기심이 어디까지 가는가 하는 점은 화성으로 인간을 보내겠다는 의지도 있겠지만, 가장 '처음점'으로 돌아가 그 곳에서부터 이야기를 시작하려는 인간의 호기심도 정말 오래된 호기심일 것이다. 그 점에서 이상희 교수의 이야기는 매우 흥미로웠고, 특히 그동안 우리가 단선적으로 이해하고 있던 인류의 진화의 방향이 사실은 여러 물줄기들이 모였다가 분리되었다가 다시 모이는 반복의 과정이었다는 점은 나에게 많은 울림을 주었다. 그러면서 그녀는 한 연구를 소개하였는데 바로 아래 연구이다.



(사진 출처: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002/9781118659991.ch3)


이 연구의 요지는 "인간의 진화는 인간이 거주했던 지구 전체를 흐르는 진화적 변화의 강이 얽혀 있는 하나의 흐름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연구 제목도 "A River Runs through It." 영화 '흐르는 강물처럼'의 그 제목이다. 고인류학 역사가 서구 백인 특히 유럽 남성 중심의 연구였던 역사적 배경을 알게 되면, 그동안 아시아의 고인류 연구가 얼마나 배제되었는지도 이 연구를 통해 가늠해볼 수 있다.




유홍준 선생님의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을 상기하며, 언젠가 가게 될 자연사 박물관을 충만하게 즐기기 위해 공부가 필요할 것 같다. 현재 목표는 내년에 가보는 것이다. 이 약속이 내년 뉴스레터에서 지켜질지 나 스스로도 궁금하다.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나 남이 연애하는 거 좋아하네

소녀의 로망

곁다리 라이프의 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