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남이 연애하는 거 좋아하네

생각해보면 과몰입 오타쿠의 심장을 가지게 된 건 어렸을 적 읽은 순정만화에서부터였다. 하지만 순정만화의 인기가 시들해진 지 오래이기도 하고 그래서인지 어느 순간 로맨스, 멜로, 연애 따위를 다룬 좋은 작품들도 하나둘씩 시장에서 자취를 감추다 보니 내가 순정만화를 좋아했다는 사실 자체를 잊고 살았다. 그러다 이번에 새삼 깨닫게 된 것이다. 친구로부터 ‘주인공들이 학원에서 만나’라는 애먼 설명만 듣고도 단번에 제목을 맞힐 정도로(애석하게도 지금은 그 만화의 제목이 기억나지 않는다. 그와의 거리 1km였나, 그런 제목이었던 것 같다.)나는 원래 순정만화를 엄청 좋아했다는 사실을. 드라마 <선재 업고 튀어>를 보면서 말이다! ‘최애를 구하기 위해 과거로 돌아간다’는 설정이 흥미롭기는 하지만 사실 그 외의 이야기는 그다지 새롭지는 않을 거라 생각했다. 영문을 모르는 남주가 자기를 구하겠다고 온갖 알 수 없는 행동을 하는 여주에게 황당함을 느끼다가 그 얼렁뚱땅한 그렇지만 또 진심이 느껴지는 모습에 서서히 스며들게 되는 그런 뻔한 이야기겠지, 짐작했다. 여기서 뻔하다는 건 나쁜 게 아니라 알면서도 찾게 되는 익숙한 맛, 우리가 품고 있는 기대를 기분 좋게 충족해 주는 그 필승의 조합을 뜻한다. 그래서 삐걱대고 투닥거리던 서로가 겹겹이 쌓인 오해를 풀고 어느덧 사랑에 빠진다는, 그런 흔한 로맨스코미디물의 공식을 따랐다 해도 아마 나는 이 드라마를 즐겨 봤을 것이다. 아뿔싸, 그런데! 이 드라마는 작가가 심어놓은 중요한 반전으로 흔한 로코물에 쌍방구원이라는 키워드가 더해지며 깊이 있는 사랑이야기로 거듭난다. 처음엔 그저 팬이 최애를 구하기 위해 과거로 갔다가 사랑에 빠지는 단순한 타임슬립 로코물인줄 알았던 <선재 업고 튀어>는 알고보니 사실은 ‘(연예계와는 아무 상관도 없었던)과거에서부터 최애가 나를 먼저 좋아하고 있었다’는 반전을 통해 뻔한 듯한 이야기에 순애보적인 서사를 부여하고 동시에 연예인과 팬 사이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