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국수의 진정한 맛을 찾아서
어렸을 때 부터 여름의 기억에서 빠지지 않는 것은 뽀얀 콩국물에 더 하얀 면을 말아먹는 콩국수이다.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음식인데 나는 완전 호호호! 였다. 콩 : 맛있는거 + 국수 : 맛있는거 + 오이 : 맛있는거 이렇게 맛있는거 세 가지를 모은 음식이 있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이었다. 고향을 떠나 서울로 올라와보니 콩국수는 생각보다 인기 음식이 아니었고 흔한 음식도 아니었다. 대학 생활 때는 먹었던 기억이 거의 없고, 취업을 하고 나서도 그리워만 할 뿐 콩국수를 굳이 찾아 먹거나 하지는 않았다. 그러던 2018년 여름, 두 번째로 취업한 직장은 충무로였는데 어느 여름날 같이 일하던 동료가 칼국수나 먹으러 가자고 해서 따라나선 날이 운명의 그 날 이었다. 진양상가를 지나 허름한 입구로 들어가니 작은 테이블이 다닥다닥 붙어있고 사람들이 옹기종기 모여 칼국수를 먹고 있었는데, 그 사이로 보이는 하얀 국물! 바로 콩국수 였다. 10년 만에 만난 콩국수가 너무 반가워서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콩국수를 골랐다. 넓은 스테인리스 그릇에 가득 담긴 콩국물을 숟가락으로 한 입 떠먹었는데 내가 그리워했던 바로 그 모든 추억과 기억을 소환하는 맛이었다. 아무 고명도 없이 국수만 말아져있는 콩국물에 소금으로 간을 하고 (나는 무시무시한 소금파이다. 설탕 절대 사절!) 갓 담근 김치를 얹어 먹으면 국물의 고소함과 면의 고소함이 양쪽에서 나를 휘감는 어마어마한 풍족감이 느껴진다. 그 뒤로 다시 나의 콩국수 DNA가 깨어나 한 달에 두 세번 씩은 직장 동료들을 졸라 콩국수를 먹으러 갔다. 직장 동료들도 콩국수는 별로 좋아하지 않았는데 다행히 칼국수도 맛있는 집이라서 큰 반발은 없었다. 콩국수는 6월~9월까지만 판매를 하기에 가을, 겨울, 봄 다시 여름이 올 때 까지 긴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것이 너무 아쉬울 따름이었다. 3년 후 충무로를 떠나서도 그 콩국수를 먹으러 다시 갈 만큼 내 인생 콩국수라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2024년 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