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지지 않을 유토피아를 꿈꾸다
매년 반복되는 일상과 인생이지만 1월은 왠지 모르게 특별하게 느껴지는 달이다. 로마력의 새해가 시작되는 첫 달, 나에게는 내 생일이 있지만 초중고대 시절에는 늘 방학이다 보니 제대로 생일파티라거나 누군가의 서프라이즈 같은 건 단 한 번도 없었던 달(물론 학교를 졸업하고 나서도 그런 건 없지만), 그리고 지금 하는 직무를 시작하고 나서는 1년 중 가장 바쁜 시기. 그렇지만 새로운 한 해를 시작하는 첫 번째 달이라는 상징성만큼은 이 세상 누구에게나 예외 없다. 그러니 이 뜻깊은 2024년 첫 뉴스레터에 무슨 글을 쓰면 좋을까, 혹은 나는 무슨 글을 쓰고 싶은 것일까 꽤나 고민했는데, 1년, 5년, 10년 전의 나에게 없다가 혹은 몰랐다가 2024년인 지금 생긴 것에 대해 쓰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중에서도 단 하나만 뽑으라면 부동산, 자가(自家)에 대한 관심이 아닐까 싶다. 이젠 내 나이 또래들이 자가를 소유하고 있어도 이상하지 않은 나잇대에 도달했으니 말이다. 또한 나 역시 현실적으로 검토를 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으니 이만큼 나 스스로 시간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는 부분은 또 없을 듯싶다. 때마침 최근에 넷플릭스에서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감상했기에 더 많은 생각이 들었다. 그리하여 <콘크리트 유토피아>와 맞물려 짧은 글을 남겨볼까 한다. 영화적인 재미나 메시지에 대한 리뷰보다는 아파트를 욕망하는 한국인 1로써의 감회가 더 진하게 섞였지만. 한국인들의 욕망과 심리를 아파트만큼 잘 설명할 수 있는 개념이 또 있을까? <콘크리트 유토피아>는 세상이 지진으로 무너진 상황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서울의 한 낡은 아파트를 배경으로 한다. 그러나 지극히 디스토피아적인 상황을 유토피아라고 묘사한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재난영화, 디스토피아 영화의 볼거리보다는 극한 상황에 몰린 사람들의 생존 투쟁과 갈등을 통하여 아파트를 둘러싼 현대 한국인들의 욕망, 그리고 아이러니에 대한 해석에 좀 더 무게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