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읽은 가장 재미있었던 추리소설 <유다의 별>
유다의 별 1권 후기 인터뷰에서 작가는 ‘내가 범인이라면 이 상황에서 어떻게 할까?’하는 생각을 출발점으로 트릭을 설정한다고 밝히면서, 걷다가도 ‘언젠가 내가 쓸모없게 되었을 때 아내가 나를 완전범죄로 죽이려면 어떤 방법을 쓸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한다고 한다. 길을 걷다가도 이런 생각을 할 정도니 완벽한 살인방법을 생각하는 것이 작가의 취미 중 하나라고 해도 완전히 틀린 말은 아니지 않을까. 아주 재미있게 읽은 책이지만 우습게도 가장 기억에 남는 부분은 이런 악취미에 가까운 작가의 습관(?)이다. 이유는 나도 비슷하기 때문이다. 종종 완벽한 살인 방법에 대해 생각하곤 한다. 당연히 실제로 저지를 것은 아니니(!) 정교하진 않다. 그저 추리소설과 범죄유튜브로 주워들은 잡다한 지식들로 밀실살인이니 시신없는 살인이니 하는 것들 혹은 직접증거 없는 살인 등등을 얼기설기 꿰어 완성하는 수준이지만 그래도 그런 생각을 할 때면 이 아이디어로 나도 추리소설을 쓸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과감한 망상(말 그대로 망상)을 하며 기분이 좋아질 때가 있어서 작가의 저 인터뷰가 유독 기억에 남는 것 같다. 서론이 무척 길었는데 요지는 ‘유다의 별’이 바로 이런 작가의 평소 습관으로부터 다져진 추리내공, 예컨대 길을 걷다가도 완전범죄를 생각하곤 하는 그런 작가의 상상력이 유감없이 발휘된 소설 같다는 것이다. 스포일러가 될까 싶어 구체적으로 언급하진 않겠지만 일제강점기 시절 유례없던 사이비 종교 사건 ‘백백교 사건’을 토대로 뻗어나가는 여러가지 소설의 가정만을 두고 하는 말이 아니다. 백백교가 와해된 뒤 약 한 세기가 흐른 현재, 백백교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살인사건이 잇달아 일어나고 그 살인사건의 미스터리를 풀어나가는 과정에서 흥미로운 이야기는 물론 기발한 트릭들이 여러번 나타난다. 심지어 제시되는 몇몇 트릭은 틀린 추리의 결과로 사실상 소설에 꼭 필요한 부분이 아님에도 그것이 지루하게 느껴지기보다는 미스터리를 증폭시키며 호기심을 유발한다. 다만 제시되는 트릭들...